핵심 요약

  • 즉시 확인: 호흡·심장 박동·동공 반응 확인
  • 임시 안치: 얼음팩을 수건에 감싸 복부 중심 냉장 보관(냉동 금지)
  • 동물병원: 가능하면 사망(폐사) 확인서 발급 문의
  • 합법 장례식장 선택: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서 등록업체 조회
  • 등록 말소: 사망 후 30일 이내 동물등록 말소 신고
강아지 응급처치 가이드

1. 가정에서 즉시 할 일

생명 신호 확인

  • 가슴에 손을 얹어 박동·호흡 체크
  • 동공에 빛 비춰 반응 확인

체액 대비 및 정리

  • 배변패드·수건 준비
  • 몸을 깨끗이 정리

중요한 안치 방법

존중 있는 자세: 편안한 자세로 반듯이 눕히고, 얼음팩(수건 감싸서)을 복부 중심에 얹어 4–6시간마다 교체

냉동 보관은 금지: 조직 손상과 후속 절차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.

2. 동물병원에서의 절차

  • 사망(폐사) 확인서: 장례 절차·보험·증빙에 유용
  • 24시 병원: 심야 전화 상담 후 아침에 문서 처리 권장
  • 지참 정보: 이름/나이/체중, 보호자 연락처, (있다면) 동물등록 번호

3. 합법 장례식장 고르기 체크리스트

필수 확인사항

  1. 지자체 등록 '동물장묘업' 여부 확인(필수):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서 지역·업체명으로 조회 가능
  2. 화장 유형: 개별(유골 반환)/입회(참관)/공동(유골 미반환)
  3. 증빙: 화장증명서·개별번호 제공 여부
  4. 이송: 자택/병원 픽업 가능 시간·비용
  5. 비용 구조: 체중·유형·옵션별 총액 견적 사전 고지
  6. 시설: 작별실 프라이버시, 대기 동선, 주차

4. 장례 진행 흐름

안치 → 입관(목욕/단장 선택) → 작별식 → 화장 → 수습 → 봉안/유품

개별 화장

유골 반환, 비용↑

입회 화장

보호자 참관, 좌석·시간 확인

공동 화장

유골 미반환, 비용↓

5. 등록 말소(사망 신고) 안내

  • 기한: 사망한 날부터 30일 이내 말소 신고
  • 방법: 온라인(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/정부24) 또는 지자체 방문
  • 준비: 신분증, (가능하면) 사망 확인 관련 서류

자주 묻는 질문

Q. 심야에 바로 장례 가능해요?
A. 일부 가능하지만 예약·인력 상황에 좌우됨. 임시 안치 → 이른 시간 예약이 안정적.
Q. 비용은 왜 차이가 큰가요?
A. 체중·화장 유형·이송·입관/유품 옵션에 따라 달라져. 견적은 총액 기준으로 비교해.
Q. 등록업체인지 어디서 확인하죠?
A.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의 '동물장묘업' 조회 페이지에서 지역별로 확인 가능해.

무지개다리에서 장례식장 찾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