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려견 사망 시 동물병원 가이드
사망 확인서 · 보관 · 이송 · 합법 장례 체크리스트
무지개다리.com 실전 안내서
🎯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
- 첫 2시간: 서늘한 곳 보관, 아이스팩(수건으로 감싸 배·겨드랑이·사타구니), 체액 대비 패드 준비
- 동물병원: 사망 확인(필요 시 사망·폐사 확인서 발급), 임시 냉장 보관 문의
- 장례식장 선택: 등록된 고정식 시설을 우선 이용. 이동식(차량) 화장은 원칙적 등록대상이 아님
- 행정 처리: 동물등록 '사망' 말소 신고는 30일 이내
⚠️ 주의: 임의 매립·소각 금지(허가·신고된 폐기물처리시설/장묘시설만 가능)
1. 지금 당장 해야 할 일
- 자세 정돈: 평평한 곳에 눕히고 몸을 가지런히 정리
- 위생 보호: 장갑 착용, 꼬리쪽 패드/방수포로 누수 대비
- 임시 보관: 아이스팩은 수건으로 감싸 몸에 직접 닿지 않게. 드라이아이스 가능 시 더 안전
- 시간 기록: 사망(발견) 시각 메모
- 사진·유품: 생전 사진/편지/목줄 등 장례에 쓸 물품 분리
💡 팁: 심야라면 자택 냉장 수준 보관 → 오전 병원 내원이 현실적입니다.
2. 동물병원에서 가능한 것
- 사망 확인 및 사망(폐사) 확인서: 보험 청구나 일부 절차에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능 여부·수수료 확인
- 임시 냉장(동) 보관: 보관 가능 여부/기간/비용 안내
- 이송 연계 안내: 등록 장묘업체 여부를 중립적으로 확인해 달라 요청
3. 이송(픽업) 준비와 포장
- 자차 이동: 방수포→패드→담요 순서로 감싸고, 가능하면 스티로폼/쿨러박스 사용
- 장례식장 픽업: 도착 예상 시간·픽업비·개별화장 증빙(동석/영상/표식)을 사전 확인
- 서류: 병원 사망확인서(있다면) 동봉, 장례 후 화장(장례)증명서는 반드시 수령
4. 합법 장례 체크리스트
✅ 확인 사항
-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서 업체 등록 여부 조회
- 고정식 시설(준비실·분향실·냉장시설·화장로 등) 보유 확인
- 개별/합동 화장 구분 및 증빙
- 화장(장례)증명서 발급
⚠️ 주의 사항
- 이동식(차량) 화장 광고 주의: 원칙적으로 등록대상이 아님
- 2022년 규제특례 실증 승인 사례가 있으나 일반적 허용과 다름
- 불법 매립·소각 금지
5. 절차 A→Z (타임라인)
1. 임시 보관2. 병원 내원3. 장례식장 예약4. 이송5. 염습·추모·화장6. 유골 수령7. 말소 신고
6. 행정 처리(필수): 동물등록 말소 신고(30일 이내)
- 온라인: 동물보호관리시스템/정부24에서 변경신고 메뉴 → '사망' 선택
- 오프라인: 시·군·구 방문(신분증·동물등록증·화장증명서/사망확인서 요구 가능)
7. 심야·주말(24시) Q&A
일부 24시 병원·장례식장이 있으나 즉시 화장은 제한될 수 있음. 자택 냉장 보관 후 오전 접수가 일반적.
원칙적으로 등록대상이 아니며, 2022년 일부 규제특례 실증 승인이 있었을 뿐입니다. 광고 시 등록 여부·합법 장소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화장 자체의 필수 서류는 아니지만, 보험 청구 등에서 사망(폐사)확인서/화장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
8. 전화 스크립트(복붙용)
🏥 동물병원
"안녕하세요. 방금 반려견이 사망해 사망 확인과 임시 냉장 보관 가능 여부를 문의드립니다. 필요 시 사망(폐사)확인서 발급도 부탁드립니다. 오늘/내일 장례식장 이송 예정입니다."
🏛️ 장례식장(등록업체)
"등록된 동물장묘업체인지와 등록번호를 먼저 확인하고 싶습니다. 개별 화장 예약 가능 시간, 픽업 비용, 화장증명서 발급, 참관/영상 제공 여부를 알려주세요."
9. 다운로드용 체크리스트
📋 필수 준비 사항
- ☐ 아이스팩/드라이아이스, 방수포·담요
- ☐ 병원: 사망 확인·임시 보관·확인서(선택)
- ☐ 등록 장묘업체 조회 및 예약(개별/합동·참관 여부)
- ☐ 이송(자차/픽업) 계획
- ☐ 화장(장례)증명서 수령
- ☐ 말소 신고 30일 이내 진행
📝 저자·감수
글·편집: 무지개다리 편집팀
최초 발행: 2025-09-08
검수/업데이트: 2025-09-08
무지개다리는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등록 장묘업체 정보와 공식 가이드를 기준으로 사실을 확인합니다.